학전
배울 學
밭 田
그렇게 배우는 밭이란 뜻을 가지고 시작한 그 곳은
아마도 배우들이 배우는 장소였던 것 같다.
봄에 씨를 뿌리고
여름에 잡초도 뽑고 약도 주고 열심히 키우고
가을에 수확을 하고
겨울에는 그 다음 해를 준비하는 지루하면서
티가 나지 않는 것을 그 장소 그 사람들은 반복하고 반복했는지 모르겠다.
그때 그 학전에서 배웠던 그들은
지금도 방송이나 영화 혹은 무대에서 아직도 왕성하게 빛을 발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 보인다.
학전이란 곳이 처음 생겼을 그 시절 대학로는 어떤 모습이었는지 잘 모르겠다.
그곳에서 배웠던 가수, 배우 들은 그 당시 생각 조차 하지 못했던 월급도 받는 등의 파격적인 대우를 받았다고 말한다.
어쩌면 그랬던 그 시절이 학전의 전성시대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학전출신 배우들이 학전을 떠나서 각자의 전성기를 향해 가고 있는 동안
학전이란 곳은 조금씩 나이가 들었던 것 같다.
물리적인 소극장도 낡아졌고
사람들의 발걸음도 예전보다 줄었던 것 같다.
그래도 그래도 김민기 연출이 있어서였을까?
학전은 여전히 빛을 내면서 존재했던 것 같았다.
김민기 연출이 투병 중이라는 소식이 들렸고
학전을 응원하는 움직임도 있었지만 결국 폐관을 했다.
학전이 있던 그 자리는 꿈밭극장이란 곳으로 바뀌었다.
한쪽 벽에는 여전히 익숙한 동상(벽화?)가 있었다.
간판은 조금 비슷했지만 너무 낯설었고 그 자리를 대신 할 수 없을 것 같았다.
학전은 그대로였지만 사라졌다고 봐야 할 것 같았다.
그리고 얼마 후
김민기 연출은 세상을 떠났다.
학전블루 소극장에서 봤던 몇편의 어린이 공연들
직접 김광석 공연을 보지는 못했지만 20대 초반에 열심히 따라 불렀던 김광석의 노래들
학전이 아니었다면 지금 자신들이 그 자리에 있지 못했을거라 말하는 유명 배우들을 보고 있노라면
나는 어쩌면 김민기 연출을 간접적으로나마 교류하고 있었던 것 같다.
학전이란 이름 처럼
배움의 밭에서 열심히 그 공간에서 무엇이든 배우게 하고 배웠던 수 많은 가수, 배우와 같은 사람들이
세상에 나와 구실을 할 수 있게 된 덕분에 나도 조금은 배우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신기하게 학전이라는 극단 이나 학전소극장이라는 그 공간에서 배웠던 사람들 중 꽤 많은 사람들은
유명해진 것 같다.
어쩌면 학전과 김민기 연출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사람들이
그 중에 유명한 사람들로 구성된 것이기 때문인지 모르겠다.
그래도 흔히 말하는 잘나갔거나 잘나가고 있는 배우,가수 들이 학전 출신이라는 것은
놀라운 일이었고 무슨 이유가 분명 존재했다고 하는게 맞을 것 같다
그 학전이란 곳에서
시간을 보냈다고 무조건 유명해진다고 했다면
아마도 학전은 SM,YG,JYP,HYBE와 같은 매니지먼트 사업을 했어도 성공할 수 있었을 것 같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는 않았던 것 같다.
학전은 수많은 배우, 가수 와 같은 예술인들이 스쳐 지나갔던 곳이었다.
수 많은 씨앗들을 좋은 토양과 양분과 정성을 들여 싹을 틔워서 더 넓은 곳에 나갈 수 있게 해주는 그런 곳.
성장하다 주춤할 때 잠시 쉬면서 나아갈 힘을 얻어 나가는 그런 곳.
잘은 모르지만 학전이 그런 곳이 아니었을까 생각해본다.
학전에서 수많은 씨앗들은 세상으로 나가 화려하게 꽃과 열매를 열었을 것이다.
그 발아한 씨앗 중에서도 너무 잘 커서 너무 화려해지고 너무 흩날리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김민기연출과 학전은 붙잡지 않고
또 다른 씨앗을 심고 싹을 틔우려고 부단히 노력했다.
조그만 객석에서 돈이 안되는 어린이를 위한 공연을 꾸준히 올리는 작업을 한 걸 보면
주변 많은 사람들이 답답했을 것 같다.
먹고 살기도 어려운데 무슨 돈도 안되는 어린이 공연....
경제논리에 맞지 않는 작업을 부단히 한 그곳 학전에는 김민기 연출과 학전사람들이 있었던 것 같다.
하지만 어린시절 공연을 접하지 못했던 내가 나이가 들어 학전어린이공연을 접했을때
때맞춰 채워줬어야 했지만 채워지지 못했던 그 과거의 어느 공간이 채워지는 것을 경험했을 때
학전이 하는 작업의 의미를 조금은 알게 됐던 것 같다.
김민기
곱고 똑바르고 평평하고 넓은 길로 편하게 걸어나갈 수 있는 인생길을 선택할 수 있었을텐데
막연하고 불편하고 좁은 그 길을 무던히 닦아가면서 살아왔던 것 같다.
얼마나 어깨가 무거웠을까?
얼마나 깜깜했을까?
얼마나 막연했을까?
그리고 아직 해야 할 일들이 많다고 생각하셨을까...
김민기 선생님의 인생길의 끝에서 뒤돌아 보면
선생님이 학전 뿐 아닌 여러 곳에서 심은 씨앗들이 무성하게 자라나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고 또 씨앗을 퍼트리는 꽃밭이 되고 있었다.
여러 사람들에게 꽃길과 꽃밭을 만들어 주신 故 김민기 선생님
오래전 어린이공연을 보면서 느꼈던 채움과 따뜻함을 잊지 않겠습니다.
어린이공연을 봤던 수많은 관객들의 가슴 속에서도
선생님과 학전에서 나눠주신 작은 꽃 한송이가 존재할 것 입니다.
이제는 기억과 추억이 되어야 하지만 좋았던 시간이었습니다.
가끔 학전에 놀러가겠습니다
학전
1991년 대학로에 소극장 학전을 개관하면서 다양한 예술장르간의 교류와 새로운 문화창조와 문화 예술계 인재들의 못자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hakchon.co.kr
'삶은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상계엄령 선포..새벽에 자고 일어났는데 혼란스럽다 (0) | 2024.12.04 |
---|---|
2024년 7월 떠들썩했던 유튜브세상, 여름이었다. (4) | 2024.08.01 |
감기의 유래-알고나니 기분이 썩 좋지 않았다. (0) | 2024.05.27 |
안녕2023! 안녕2024! (0) | 2023.12.31 |
참새가 방앗간을 지나칠 수 없는 이유는?-냄새 아니 향기에 관해서 (0) | 2023.09.26 |